교육급여와 초중고 교육비 차이, 신청 조건·혜택 총정리

새 학기가 시작되면 많은 가정에서 교육급여초중고 교육비 지원 신청을 고민하게 됩니다. 하지만 두 제도의 차이와 신청 기준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죠. 오늘은 이 두 가지 지원 제도를 쉽게 비교하고, 신청 꿀팁까지 알려드립니다.

교육급여


교육급여란?

교육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한 종류로, 가구의 소득·재산이 기준에 해당될 경우 교육활동 지원비가 연 1회 바우처로 지급됩니다. 고등학생의 경우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 대금도 지원됩니다. 또한 교육급여 수급 시 요금 감면, 정부양곡, 문화누리카드, 스포츠 바우처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이 함께 제공됩니다.

교육급여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 자동차·재산 기준 충족 필수
  •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초중고 교육비란?

초중고 교육비는 시·도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재량사업입니다. 지원 항목과 기준이 지역마다 다르며, 고교학비·급식비·반가워 수강권·PC 및 인터넷 통신비 등을 제공합니다.

초중고 교육비 주요 혜택

  • 고교학비급식비 지원
  • 연 60만원 상당 방과후 수강권
  • PC·인터넷 통신비 (대상자 제한)

초중고 교육비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50~100% 이하 가구
  • 지역별로 세부 기준 상이
  • 교육비 원클릭 사이트 또는 학교 통해 신청

두 제도의 가장 큰 차이

가장 큰 차이는 선정 기준과 계산 방식입니다. 교육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이므로 소득인정액 계산이 더 까다롭고, 자동차 가치가 전액 소득으로 반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초중고 교육비는 재산 반영 방식이 상대적으로 완화됩니다.

교육급여·초중고 교육비 신청 꿀팁

  1. 교육급여 신청 시 주거급여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도 함께 신청하면 좋습니다.
  2. 자동차가 있는 경우, 10년 이상·2,000cc 미만·차량가액 500만원 미만 조건을 확인하세요.
  3. 초중고 교육비 기준을 초과해도 학교장 추천 제도를 활용하면 추가 선정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부모 주소지 주민센터
  • 초중고 교육비만 신청 시 교육비 원클릭 사이트 이용
  • 연중 상시 신청 가능, 집중 신청기간(학기 초) 권장

신청 결과 확인

  • 교육급여: 신청 후 1~3개월 소요
  • 초중고 교육비: 4~5월 문자 또는 우편 통지
  • 교육급여 선정 시 바우처 홈페이지에서 별도 신청 필요

오늘은 교육 금여와 초중고등학교의 교육비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고 신청하는 방법, 어떤 조건에서 신청할수 있는지 어떤혜택을 받을수 있는지 총정리 해드렸습니다. 오늘 안내드린 교육급여와 초중고 교육비 제도를 잘 비교하고, 꼭 해당 기간 안에 신청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