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초수급자 재산 기준

2025년 기초수급자 재산 기준이 크게 완화되어 많은 분들이 수급자 신청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재산 기준 완화와 함께 최신 신청 조건 및 소득인정액 계산법에 대해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정부는 어려운 국민에게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운영 중이며, 올해부터는 재산 기준이 높아져 수급 대상자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기초수급자 재산 기준 완화 2025 지원금

기초수급자란?

기초수급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최소 생활에 필요한 급여를 받는 사람을 말합니다.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가 대상이며, 1인 가구부터 가족 단위까지 가구 전체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해 평가합니다.

2025년 재산 기준 완화 주요 내용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재산 기준 완화입니다. 서울, 경기, 광역시 등 지역별로 기본 재산 공제액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 서울시 기본 재산 공제액: 기존 9,900만 원 → 1억 4,300만 원
  • 경기도 기본 재산 공제액: 기존 8,000만 원 → 1억 2,500만 원
  • 광역시 및 세종, 창원 등: 기존 7,700만 원 → 1억 2,000만 원
  • 기타 지역: 기존 5,300만 원 → 9,900만 원

또한, 금융 재산에 대해서도 비상금 500만 원은 재산에서 공제해 재산 평가 시 제외합니다.

소득인정액 계산법 간단 정리

소득인정액은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계산합니다. 재산의 경우 주거용 재산, 일반 재산, 금융 재산, 자동차 재산 등 종류별로 소득 환산율이 다르며, 예를 들어 주거용 재산은 1.04%, 금융 재산은 6.26%가 적용됩니다.

가구원의 모든 소득과 재산을 합산해 소득인정액이 기준 금액 이하이면 기초수급자가 될 수 있습니다.

기초수급자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

  • 가구원 모두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해 평가합니다.
  • 재산과 소득은 정기적으로 변동될 수 있어 신청 전 최신 내역 확인 필수
  • 65세 이상 어르신과 29세 이하 청년은 소득 공제율이 높아 혜택이 큽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재산 기준 완화로 누가 더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기존에 재산 기준 때문에 수급자에서 탈락했던 가구들이 다시 신청할 수 있으며, 특히 자가주택을 보유한 분들이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Q2. 소득인정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가구 전체 소득과 재산을 합산한 뒤, 재산은 소득으로 환산해 더한 금액입니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수급 여부를 판단합니다.

Q3.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또는 온라인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기초수급자 재산 기준 완화 및 신청 조건에 대해 총정리하여 2025년 기준을 알아보았는데요. 기준에 부합하시는 분들은 놓치지 말고 신청해서 혜택받아보세요.